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3)
[심리철학] 인지과학의 통합도전 - 마음의 구조 파악하기 인지과학은 철학, 심리학, 신경과학 등 각 학문의 경계에서, 각 학문들을 학제적으로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글은 "인지과학"책의 5장인 "통합 도전과 씨름하기"를 나름대로 해석, 요약한 내용이다. 인지과학이 학문 간 통합에 도전하는 이유 인지과학의 각 분야는 마음에 관한 설명을 내놓으려는 목적을 갖지만 상이한 도구와 이론을 다룬다. 이를 통합할 수 있어야 학제적이라는 것이 인지과학의 특징이 된다. 인지과학은 왜 학제적 통합에 도전하는가? 인지과학은 다양한 학문 간 환원을 꾀하고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는데, 인지과학의 통합 도전은 과학의 통일성 문제의 한 부분이다. 모든 인지과학은 마음에 관한 설명이고, 마음은 자연계의 일부이다. 그런데 모든 과학은 자연계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에 인지과학 역시 과..
[프로그래밍] DB ERD, DDL/DML/DCL/TCL, 자료형 DB Data Base는 잘 관리되는 데이터들을 말한다. persistance data는 컴퓨터를 끄더라도 지워지지 않는 영속적인 데이터를 말하는데 file system이 그러하다. 초급 자바는 io package를 이용해 persistance data를 file system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데이터를 활용하려면 읽어들이고 parsing하고 equals 비교하는 등 여러 작업을 거쳐야 했다. DataBase를 이용하면 이러한 문제가 줄어든다.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자바 API를 제공한다. JDBC는 java.sql 패키지를 말하는데 SQL은 DB 교수가 논문으로 제안한 DB관리법을 미국 표준 ANSE로 스펙화 한 ..
[프로그래밍] event, synchronized, IO Block pool Run - CPU만나는상태 자바 스레드 언어차원에서 지원 전산에서는 어떤 동작을 하는 순간을 event이벤트라 한다. 홈페이지에서 ID, PW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누르는 순간을 로그인 이벤트 발생이라 하고, 바탕화면에서 브라우저 아이콘을 더블클릭하는 순간을 이벤트 발생이라 하고, 메서드를 벗어나는 순간을 메서드 벗어나는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한다. Thread를 사용하는 이유는 OS차원에서 process 하나로 자원을 공유한다는 장점, Data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그러나 공유할 때 동기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동기화 문제는 한 번에 하나의 스레드를 처리하는 게 아니라 여러 스레드가 동시다발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하나의 data file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프로그래밍] Data Source/Data Target, BufferedReader, Thread for ctrl+space => 자동으로 for문 만들어줌. 삼항연산자 : 편한데 가독성 떨어짐 generate equals 있음. 예외 생성자에 String 받는거 생성하면 그 메세지 가져오는 메서드 ===================================== is a 관계인지 파악하는 키워드. true/false로 나온다. 외부에서 JVM으로 들여오고 내보낼 때 사용하는 Bean들을 모아놓은 패키지로 interface 기반 모델링이 되어 있다. InputStream, OutputStream이 계열 최상위 abstract class이다. 외부에서 JVM으로 읽어들일 때 keyboard를 읽거나 file을 읽거나 network를 읽기도 한다. 이렇게 구체적으로 입력되는 것을 이야기하지 않고, Da..
[프로그래밍] AWT, Deprecated, Concrete, process, 입출력 Stream, 절차 은닉 java.awt 패키지는 자바에서 지원하는 Graphic user interface 클래스들이다. 그러나 자바는 C에 비해 느리기 때문에 사용자 용이 아니라 서버 용이고, windows gui에 비해 뒤떨어지기 때문에 현업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다. 계열 최상위 클래스는 Component 클래스이다. 추상메서드 없이 클래스가 abstract로 선언된 걸 보니 공유 목적으로 만든 클래스임을 알 수 있다. java.util.Calandar를 보면 인스턴스 생성을 못하도록 abstract 선언을 해 두었다. 특정 시간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시간이 지났을 때 과거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calandar는 현재 시간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알맞지 않게 된다. 그러나 Date 클래스를 보면 인스턴스 생성이 가..
[프로그래밍] UML, Exception, try-catch, throw, Inner Member / Local / Anonymous Class private static은 나만 쓸 수 있는 static이다. private이 붙으면 static이라도 외부에서 클래스이름으로 접근할 수 없다. +는 public을, #는 protected(상속과 같은 패키지), -는 private를 의미한다. 필드는 변수명 : 데이터타입 으로 적는다. 문제영역을 도메인이라고도 한다. (domain 도메인의 사전적 의미는 시간 혹은 공간적 영역을 의미한다.) 상태값을 변경하지 않는 메서드의 경우 static을 붙인다. 상태값 설정(초기화)을 인스턴스 생성 시 하는 것과 set 메서드 사용 시 하는 방법 모두 사용할 수 있는데, instance 생성 시 상태값을 알고 있을 때에는 생성자에 상태값을 넣어 initialize 하는 것이 편하고, 상태값은 현재 모르지만 인스턴..
[프로그래밍] Enhanced for Loop, Generic, Wrapper class, AutoBoxing and AutoUnBoxing, Collection ★★주의★★) [private 필드, 공유, this] 상위 클래스의 private 필드는 하위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 하지 않았더라도 this.변수명 으로 접근할 수 없다. 하위 생성자에서 상위 생성자로 입력값을 넘기지 않고 초기화하고 싶을 땐 this.setName(name); this.setAge(age); 처럼 setter 메서드에는 접근 가능하다. overriding은 메서드 재정의 뿐 아니라 상위 메서드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위 클래스에서 overriding한 메서드 실행의 첫 줄에서 super.메서드명();으로 상위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다. 이는 상위 메서드를 호출하고 자신도 실행하므로 추가하는 overriding이다. primitive data type은 call by value로 ..
[인도철학] 비정통학파 짜르바까(Carvaka) 대한 생각 철학을 공부하다보면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나는 특히나 내가 살아가야 하는 삶을 형이상학적으로 도덕적으로 인식적으로 많이 고민했던 것 같다. 여러 사상들을 모아서 내 생각을 쌓았다가 무너뜨렸다가 반복하다 보면 완성되지 않아도 그 과정이 나에게 중요한 자산으로 남았다는 걸 느끼게 된다. 오늘은 인도의 비정통학파 짜르바까(Carvaka)로 생각을 쌓고 무너뜨리던 과정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인도철학의 구분 인도의 철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인도의 모든 철학, 종교의 근원인 베다(Veda)의 권위를 따르는가, 아닌가 하는 것이 구분 기준이 된다. 베다의 권위를 따르는 학파는 정통학파로, 그렇지 않은 학파는 비정통학파로 분류된다. 짜르바까(Carvaka)는 비정통 학파 중 하나이다. 짜르바까 ..